검색결과
  • [한양대 ERICA]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신설…사회수요 맞춤형 교육 대폭 강화

    [한양대 ERICA]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신설…사회수요 맞춤형 교육 대폭 강화

    대한민국 산학협력의 중심, 한양대 ERICA 캠퍼스끊임없는 도전을 통해 융합과 혁신으로 한양의 브랜드를 만들어 가고 있는 한양대 ERICA는 대한민국 산학렵력의 중심이다. 한양대학

    중앙일보

    2016.07.18 00:01

  • [해외여행-캐나다] 쉼표가 필요한 당신을 위한 완벽한 처방전

    [해외여행-캐나다] 쉼표가 필요한 당신을 위한 완벽한 처방전

    북미 최고의 스키 리조트로 꼽히는 스칸디나브 스파 휘슬러. 북적한 스키 시즌이 끝나면, 산책과 스파를 즐기는 힐링 명소가 된다. 본질은 자기 치유이고 자기 보상이다. 쳇바퀴 일상을

    온라인 중앙일보

    2015.05.26 00:01

  • [소중 리포트] 스포츠 중계부터 범죄자 추적까지…쓸모 많네요, 드론

    [소중 리포트] 스포츠 중계부터 범죄자 추적까지…쓸모 많네요, 드론

    프랑스 드론 업체 페럿사의 `AR드론 2.0`.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가 찍은 영상을 조종하는 사람이 볼 수 있는 FPV기능을 지원한다. 카메라가 보낸 영상을 통해 실제 비행하는 기

    온라인 중앙일보

    2015.03.29 00:01

  • [사진] 일본 새로 개발한 '엡실론'로켓 발사성공

    일본이 새로 개발한 '엡실론' 로켓이 14일 가고시마현 기모쓰키에 있는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지난달 27일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최종순간 로켓 동체의 자세문제가 확인되

    온라인 중앙일보

    2013.09.15 06:50

  • [사진] 일본 새로 개발한 '엡실론'로켓 발사성공

    [사진] 일본 새로 개발한 '엡실론'로켓 발사성공

    일본이 새로 개발한 '엡실론' 로켓이 14일 가고시마현 기모쓰키에 있는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지난달 27일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최종순간 로켓 동체의 자세문제가 확인되

    온라인 중앙일보

    2013.09.14 21:04

  • [사진] 일본 새로 개발한 '엡실론'로켓 발사성공

    [사진] 일본 새로 개발한 '엡실론'로켓 발사성공

    일본이 새로 개발한 '엡실론' 로켓이 14일 가고시마현 기모쓰키에 있는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지난달 27일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최종순간 로켓 동체의 자세문제가 확인되

    온라인 중앙일보

    2013.09.14 17:32

  • 휴가철 이색여행지, 경기도 천문대 베스트 4

    휴가철 이색여행지, 경기도 천문대 베스트 4

    여름밤 휴가지에서 바라보는 별은, 도심에서는 볼 수 없는 잊지 못 할 추억가운데 하나다. 워터파크도 계곡도 산과 바다도 좋지만, 어릴 적 꿈을 키워주기 위해서라도 천문대는 꼭 한

    중앙일보

    2013.08.09 16:01

  • '이설주 아버지설' 이광근, TV 등장해…'깜짝'

    '이설주 아버지설' 이광근, TV 등장해…'깜짝'

    북한 퍼스트레이디 이설주(23)의 부친이란 설[중앙일보 12월 15일자 22, 23면] 이 제기된 이광근(57·사진) 합영투자위원장이 북한 TV에 등장했다. 조선중앙TV는 지난

    중앙일보

    2012.12.29 00:20

  • 캐나다로 떠나는 환상적인 빛의 여행 [오로라 관측+다양한 윈터 액티비티]

    캐나다로 떠나는 환상적인 빛의 여행 [오로라 관측+다양한 윈터 액티비티]

    어둡기만 하던 밤하늘이 한 순간 빨강, 오렌지, 보라, 초록의 형형색색의 화려한 빛으로 수놓아 진다면 어떤 느낌일까? 오로라는 라틴어로 ‘새벽’을 뜻하며 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스마

    온라인 중앙일보

    2012.10.18 14:43

  • 체제안정 급한 김정은, 미국과 대화의 길 선택

    체제안정 급한 김정은, 미국과 대화의 길 선택

    북한이 핵시설의 불능화 조치를 취한 직후인 2008년 2월 영변을 방문한 지그프리드 헤커 스탠퍼드대 박사가 핵연료 가공 공장에서 비닐에 싸인 장비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북한은 헤

    중앙일보

    2012.03.01 01:08

  • 1년 새 세 차례 중국 방문, 김정일 왜

    1년 새 세 차례 중국 방문, 김정일 왜

    무단장 호텔 나서는 김정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해 8월에 이어 9개월 만에 중국을 방문했다. 김 위원장이 20일 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의 홀리데이인 호텔을 나서고 있다.

    중앙일보

    2011.05.21 03:00

  • [뉴스 클립] 2011 시사 총정리 ② [1월 17일~2월 19일]

    [뉴스 클립] 2011 시사 총정리 ② [1월 17일~2월 19일]

    지난주 혁신적인 제품으로 정보기술(IT)계를 이끌어 왔던 ‘상식 파괴자’ 스티브 잡스가 6주밖에 살 수 없을 것이라는 시한부설이 터져 나와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운 일이 있었습

    중앙일보

    2011.02.23 00:09

  • 올 겨울방학땐…

    올 겨울방학땐…

    해외 영어캠프나 리더십 캠프 등 특정 인기 프로그램 외에는 캠프에 대한 관심이 줄고 있다. 아이에 맞는 캠프 찾기가 힘들다고 아우성이지만 그렇다고 방학중에 아이를 집에만 둘 수는

    중앙일보

    2010.11.18 00:05

  • [사진] 당신에게 보름달은 무엇입니까

    [사진] 당신에게 보름달은 무엇입니까

    오는 한가위에는 휘영청 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요. 추석 전날 서울에 약한 비가 내릴 것이란 예보가 있습니다. 그래도 실망하지 마세요. 비 갠 깨끗한 하늘에서 달을 보게 될 수도

    중앙선데이

    2010.09.12 03:00

  • [메트로 가이드] 태양계 행성 관측 기회를 外

    *** 태양계 행성 관측 기회를 연세대 천문대가 운영하는 어린이천문대는 24~25일 오후 6시 경기도 고양시 일산 호수공원에서 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 등 태양계의 행성 5개를

    중앙일보

    2004.03.23 18:56

  • 지구서 가장 먼 행성 발견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이 발견됐다고 CNN방송이 7일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미국의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우주물리학센터 연구팀은 이날 "지구에서 5천광년 떨어진 곳에 위

    중앙일보

    2003.01.08 19:08

  • X선 관측위성 '찬드라' 블랙홀 신비 벗기나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를 비롯한 블랙홀 연구가들 중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을 사람이 수년 안에 나올지 모른다. 이달로 발사 두돌을 맞은 최신 X선 천체망원경을 장착한

    중앙일보

    2001.09.17 10:30

  • X선 관측위성 '찬드라' 블랙홀 신비 벗기나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를 비롯한 블랙홀 연구가들 중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을 사람이 수년 안에 나올지 모른다. 이달로 발사 두돌을 맞은 최신 X선 천체망원경을 장착한

    중앙일보

    2001.09.17 00:00

  • X선 관측위성 '찬드라' 블랙홀 신비 벗기나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를 비롯한 블랙홀 연구가들 중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을 사람이 수년 안에 나올지 모른다. 이달로 발사 두돌을 맞은 최신 X선 천체망원경을 장착한

    중앙일보

    2001.09.16 14:57

  • 안성.가평등 3곳 천문대에서 헤일-봅 혜성강좌등 1박2일 코스 개설

    생텍쥐페리의'어린 왕자'를 만나자.별나라 여행을 떠날 상상력과 마음의 준비만 돼있다면 외로운 별에서 장미 한송이를 키우는'어린 왕자'를 만날 수도 있다. 4천2백년만에 다시 지구를

    중앙일보

    1997.03.10 00:00

  • 9일동안 과학실험 72개|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의 임무는…

    【미케이프카내베랄=외신연합】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가 29일 새벽1시(한국시간) 미케이프카내베랄의 케네디우주센터를 떠나 9일간의 우주비행에 나선다. 콜럼비아호는 미우주탐사자상 처음으로

    중앙일보

    1983.11.28 00:00

  • [을사문화계]의 회고

    을사의 종막도 멀지않았다. 그러나 이대로 막을 닫는 허전함은 관객도 배우도 한결 같다. 우리 문화계는 정녕 정체된 소택지인가, 아니면 유유한 대하의 흐름인가? 65년에도 그 [정체

    중앙일보

    1965.12.27 00:00